• 프로그램실행
  • 시설급여
  • 주야간보호급여
  • 가정방문급여
  • 부가서비스
  • 홈페이지 제작
  • Home > 주야간보호급여 > 모니터링 지원
    모니터링 지원
    주야간보호 모니터링 평가 지표 ( 2020년도에 공시된 기준입니다 - 는 장기요양기관 모니터링 지표 지원 항목입니다.)
    지표 내용 지표(케어포지원) 기관 준비자료
    1 의무인력 및 추가인력 배치기준을 준수하는가?
    ① 의무인력배치 현황
    ② 인력추가배치 현황
    ③ 간호사배치 현황
    - 급여비용 가산 산정을 위해 공단에 신고한 종사자 근무현황과 실제로 근무한 직종별 근무인원 및 근무시간이 일치함
    8-2.근무일정표 작성(출퇴근시간기록)
    8-4.출퇴근 및 근무관리 작성
    11-1.월별 급여대장 작성
    가산 결정 현황(전산자료), 종사자 근무신고 현황(전산자료),고용계약서
    2 종사자는 직종에 알맞은 업무를 수행하는가?
    간호(조무)사, 사회복지사, 물리(작업)치료사, 요양보호사, 조리원 및 보조원(운전사)이 시‧군‧구에 신고한 직종에 알맞은 업무를 수행함 3-1.요양급여 제공기록 작성
    4-1.간호급여 제공기록 작성
    업무분장표(케어포자료실 서식를 작성하여 제출), 종사자 면담,자격(면허)증 사본,시‧군‧구 신고현황
    3 가산적용 인력을 지속적으로 배치하는가?
    모니터링 실시 월의 직전 6개월 동안 다음의 인력배치 가산을 유지함
    ① 인력추가배치가산
    ② 간호사배치가산
    8-2.근무일정표 작성(출퇴근시간기록)
    8-4.출퇴근 및 근무관리 작성
    가산 결정 현황(전산자료), 종사자 근무신고 현황(전산자료)
    4 수급자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는가?
    ① 수급자의 의복, 침구 및 사용 물품을 깨끗하게 유지함
    ② 시설 내부를 정리정돈하고 파손된 곳 없이 안전하게 유지함
    ③ 오염 및 부적절한 환기 등으로 인한 악취 없이 유지함
    ④ 물을 사용하는 장소는 바닥에 물기가 없이 유지함
      현장관찰
    5 이동서비스 제공을 위한 안전대책을 마련하는가?
    ① 이동차량 운행할 때 운전자 이외의 보조인력이 동승함
    ② 이동 차량 내부에 발판과 비상봉을 비치함
    ③ 응급상황 대비 연락체계를 이동차량 내부에 비치하고 운전자가 인지함
    2-3.탑승관리 작성
    8-7.교육일지 > 운영관리 > 이동서비스안전수칙 비치 및 숙지
    수급자와 종사자 면담,이동서비스 차량 점검(현장에서 차량확인)
    6 수급자(또는 보호자)는 기관이용에 만족하는가?
    ① 수급자는 기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에게 만족하는가?
    ② 수급자는 일상생활 돌봄(급식포함)을 적절하게 제공받는가?
    ③ 수급자는 생활환경을 쾌적하고 안전하다고 느끼는가?
    ④ 수급자는 적절하고 다양한 신체·인지활동 프로그램을 제공받는가?
      수급자 또는 보호자 유선상담(공단에서 확인)
    7 자가진단과 현장 모니터링 결과가 일치하는가?
    자가진단 실시결과와 현장 모니터링 실시결과가 일치함   모니터링 실시 월의 자가진단 전송결과와 현장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결과 일치 여부를 확인
    맞춤형 서비스 평가지표 ( 2020년도에 공시된 기준입니다 - 는 장기요양기관 모니터링 지표 지원 항목입니다.)
    지표 내용 지표(케어포지원) 기관 준비자료
    1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기준을 준수하는가?
    ① 프로그램을 주 4회 또는 월 16회 이상 제공함
    ② 적절한 시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프로그램을 제공함(60분 이상)
    5-2.프로그램 일정관리 작성
    5-1.프로그램 일지기록 작성
    수급자와 종사자 면담
    2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기준을 준수하는가?
    ① 외부강사가 주 2종류 이상 프로그램을 제공함
    ② 기관별(또는 급여유형별)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함
    5-2.프로그램 일정관리 작성
    5-1.프로그램 일지기록 작성
    수급자와 종사자 면담
    3 자격을 갖춘 외부강사가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가?
    ① 외부강사가 해당 맞춤형 프로그램 관련 자격증을 소지함
    ② 외부강사가 방문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함
    5-4-1.외부강사/자원봉사자 관리 > 월간일정표 및 일지 조회 임금대장, 고용계약서, 외부강사 자격증 사본
    4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기록지를 작성하는가?
    프로그램 운영 기록지(별지 제26호 서식)를 참고하여 작성함 5-1.프로그램 일지기록 작성  
    5 자가진단과 현장 모니터링 결과가 일치하는가?
    자가진단 실시결과와 현장 모니터링 실시결과가 일치함   모니터링 실시 월의 자가진단 전송결과와 현장 모니터링 결과를 비교하여 결과 일치 여부를 확인